많은 사람들이 1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영화가 '날개 (Wings, 1927)'라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1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영화가 '날개'외에 또 다른 영화가 하나 더 있었다는 사실은 잘 알지 못한다. 사실 1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두 개의 작품상 부문이 있었는데, '날개'가 "탁월한 작품(Outstanding Picture)"으로, 그리고 '선라이즈'가 "독특하고 예술적인 작품(Unique and Artistic Picture)"으로 작품상을 수상했었다. 하지만 이듬해 "독특하고 예술적인 작품" 부문이 폐지되면서 '날개'가 공식적인 첫번째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이 된 것이다. 만약 1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오늘날과 같이 아카데미 작품상이 한 영화에게만 주어졌다면 아마도 '선라이즈'가 첫번째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이라는 영광을 차지했을지도 모른다. 그만큼 '선라이즈'는 '날개'에 비해 작품성이 뛰어난, 그리고 오늘날에도 명화로 평가받고 있는 영화이다. '선라이즈'는 미국 영화 연구소(American Film Institute, AFI)가 2007년에 선정한 "위대한 미국 영화 100 10주년 기념판 (AFI's 100 Years...100 Movies 10th Anniversary Edition)"에서 82위에 랭크되어 있다.
'선라이즈'는 무성 영화이긴 하지만 음향 효과를 최초로 사용한 영화이다. 기존의 무성 영화에서는 배경 음악이 영화 화면과 함께 흘러나오기는 하지만, 영화 화면의 상황과는 전혀 상관없이 흘러나왔다. 즉 배경 음악 따로, 영화 화면 따로였다. 하지만 '선라이즈'에서는 오늘날의 영화에서처럼 영화 화면의 상황에 맞는 배경 음악이 흘러나오면서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예를 들어 도시에서 온 여자(Margaret Livingston)의 유혹에 넘어간 남자(George O'Brien)가 아내(Janet Gaynor)를 살해하려는 장면에서 무거운 배경 음악이 흘러나오면서 공포와 긴장감 넘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또한 배경 음악에 기차의 기적 소리나 종소리 같은 효과음이 영화 화면의 상황에 맞게 삽입되어 있다. '선라이즈'는 음향 효과의 최초 사용이라는 선구적인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시기에 나온, 유성 영화 시대를 연 영화로 평가받고 있는 '재즈 싱어 (The Jazz Singer, 1927)'의 그늘에 가려졌다. '선라이즈'는 작품성이 뛰어난, 그리고 음향 효과를 최초로 사용한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날개'와 '재즈 싱어'의 그늘에 가려진 불운한 영화이다. '선라이즈'는 개봉 당시에 흥행에도 실패했다.
'선라이즈'를 연출한 F.W. 무르나우 감독은 흡혈귀 영화인 '노스페라투 (Nosferatu, eine Symphonie des Grauens Nosferatu, 1922)'와, 자막 없이 영상만으로 영화가 전개되는 '마지막 웃음 (Der Letzte Mann, 1924)'을 연출한 독일의 영화감독으로, 무성 영화 시기의 가장 중요한 운동이었던 독일 표현주의를 확립한 영화감독이다. 영화 제작사 20세기 폭스사의 전신인 폭스 영화사를 설립한 할리우드의 영화 제작자 윌리엄 폭스는 영화 연출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하고 F.W. 무르나우 감독을 할리우드로 데려온다. '선라이즈'는 F.W. 무르나우 감독의 할리우드 데뷔작이다.
'두 사람의 노래'라는 부제가 달린 '선라이즈'의 이야기는 무척이나 단순하다. 한 시골 남자가 휴가를 보내기 위해 도시에서 온 여자의 유혹에 넘어가 아내를 죽이려 한다. 하지만 차마 아내를 죽이지 못한 남자는 이내 아내를 죽이려 한 것을 후회하고, 도시로의 여행을 통해 두 사람은 다시 사랑을 되찾는다. '선라이즈'의 이야기의 단순함은 오히려 영화의 이야기에 보편성을 부여하고 있다. '선라이즈'의 이야기는 우화에 가깝다. 영화도 "혼란한 도시든 야외의 시골이든 해가 뜨고 지는 곳이면 인생은 크게 다르지 않다; 쓰기도 하고 달기도 하다."라는 자막으로 시작한다. 이야기의 보편성을 위해 등장 인물들에게 특별한 이름도 붙여주지 않고 있다.
단순한 영화의 이야기에도 불구하고 '선라이즈'는 오늘날 보아도 관객들을 영화에 몰입시키게 만드는 힘이 있는 영화이다. 이는 앞서 언급한 음향 효과의 사용과 함께, 오늘날 보아도 놀라운, 실험 정신 가득한 영상 때문이다. 영화가 이야기와 함께 영상을 통해 관객들에게 감동을 주는 예술이라는 것을 생각할 때 '선라이즈'는 영상이 어떻게 영화의 이야기를 표현하고 영화의 이야기에 극적인 효과를 주는지, 어떻게 관객들을 영화에 몰입시키게 만드는지를 보여 주는 영화이다. '선라이즈'는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영상 기술들을 사용하였는데, 거의 모든 장면 장면이 인상적인 영화이다. 첫화면의 구도부터가 인상적이다. 화면 맨 앞에 기차가 지나가고 플랫폼에는 사람들이 지나다니고 역의 유리벽 너머로 도시의 전경이 보인다.
둥근 달 아래 호숫가에서 도시에서 온 여자가 남자에게 키스를 하는 장면도 인상적이다. 이 장면에서 남자를 유혹하는 도시에서 온 여자는 마치 보름달이 뜨면 사람의 피를 빨아먹는 흡혈귀나 다름없다.
도시에서 온 여자는 남자에게 아내를 물에 빠뜨려 죽이라고 유혹한다. 화면에 "그녀를 익사시킬 수 있어요? (Couldn't she get drowned?)"라는 자막이 뜨고, 곧이어 자막은 마치 물에 빠지듯 화면에서 흘러내리면서 극적인 효과를 낸다. 도시에서 온 여자는 아내를 죽인 후 자신과 함께 도시로 가자고 계속해서 남자를 유혹한다. 그리고 다중 노출 기법을 사용하여 촬영한 다소 어지러운 장면이 나오는데, 악단의 지휘자를 중심으로 화면의 왼쪽에는 음악을 연주하는 악단이, 오른쪽에는 홀에서 춤을 추는 사람들을 보여 준다. 이 장면을 통해 향락의 도시를 표현함과 동시에, 관객들에게 도시에서 온 여자의 타락함을 암시해 주고 있다. 도시에서 온 여자를 만난 남자는 다음날 아침 닭에게 모이를 주는 아내를 바라보며 괴로워 한다. 이때 남자의 등 뒤에서 남자를 유혹하는 도시에서 온 여자의 장면이 중첩된다. 자막 없이 영상만으로 남자가 느끼는 고뇌와 유혹을 표현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선라이즈'가 보여 주는 놀라운 영상 기술 중 가장 으뜸은 카메라의 움직임이다. 기존의 무성 영화들은 거의 모든 장면을 카메라를 고정시켜 놓고 찍었다. 카메라의 흔들림 때문에 카메라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가 없었다. 기껏해야 평평한 땅에 설치한 레일 위에 카메라를 올려놓고 협소한 공간에서 움직이는 배우들을 따라가면서 찍은 트래킹 장면이 고작이었다. '선라이즈'에서 남자가 도시에서 온 여자를 만나러 가는 장면을 보면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카메라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는 도시에서 온 여자를 만나러 가는 남자를 오랫동안 따라간다. 남자가 걷고 있는 땅을 보면 울퉁불퉁하고 질척질척하다. 하지만 좀더 특수하게 만든 레일 위에 카메라를 올려놓았는지, 아니면 공중에 설치한 케이블에 카메라를 달았는지 알 수 없지만, 남자를 따라가는 카메라는 흔들리지 않는다. F.W. 무르나우 감독은 이 장면에서 남자를 연기한 조지 오브라이언에게 납덩어리가 든 신발을 신게 하였다. 카메라가 남자를 따라가면서 촬영한 이 장면은 아내 몰래 도시에서 온 여자를 만나러 가는 죄책감으로 발걸음이 무거운 남자의 고통스러운 심리 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아내를 연기한 자넷 게이너는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선라이즈'는 "독특하고 예술적인 작품"상과 함께, 여우주연상, 촬영상의 3개 부문의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윙 타임 (Swing Time, 1936) (0) | 2014.09.14 |
---|---|
아르고 (Argo, 2012) (2) | 2014.09.11 |
노예 12년 (12 Years a Slave, 2013) (0) | 2014.09.11 |
폭풍의 언덕 (Wuthering Heights, 1939) (4) | 2014.06.03 |
정오의 출격 (Twelve O'Clock High, 1949) (0) | 2014.04.23 |
허트 로커 (The Hurt Locker, 2008) (0) | 2014.04.09 |
아티스트 (The Artist, 2011) (0) | 2014.01.03 |
젊은이의 양지 (A Place in the Sun, 1951) (0) | 2013.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