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LA 폭동을 촉발시킨 로드니 킹(Rodney King)이 사망했다는 뉴스를 몇 일 전에 보았다. 1991년 3월 3일 음주운전 중 경찰의 정지 명령을 무시하고 도주를 한 로드니 킹은 체포되는 과정에서 4명의 백인 경찰관들로부터 심한 구타를 당했다. 로드니 킹이 구타를 당하는 장면은 인근 주민의 비디오 카메라에 찍혀 TV 뉴스를 통해 공개되었고, 흑인들의 공분을 샀다. 1992년 4월 29일 배심원들이 4명의 경찰관들에게 무죄 평결을 내리자 격분한 흑인들이 LA 폭동을 일으켰다. 4일 동안 계속된 폭동으로 LA에 사는 한국인들의 피해가 가장 컸다. 흑인들은 한국인과 한국인 상점을 주요 공격 대상으로 삼았다. LA 폭동은 미국 사회에 위태롭게 내재되어 있던 인종 문제가 결국 표면으로 드러난 사건이었다.

스파이크 리 감독이 각본을 쓰고 연출까지 한 '똑바로 살아라'는 LA 폭동이 일어나기 3년 전에 나온 영화이지만, 영화 속에서 벌어지는 상황이 LA 폭동과 놀랍도록 비슷하다. 샐(Danny Aiello)의 피자 가게에서 큰 싸움이 벌어진다. 출동한 경찰이 싸움을 말리는 과정에서 경찰의 가혹 행위로 흑인 청년 라디오 라힘(Bill Nunn)이 죽는다. 이에 격분한 흑인들은 폭동을 일으켜 샐의 피자 가게를 불태우고, 이어 건너편에 있는 한국인 상점도 불태우기 위해 몰려든다.

'똑바로 살아라'는 오프닝 장면이 인상적인데, 티나(Rosie Perez) 역의 로지 페레즈가 퍼블릭 에너미(Public Enemy)의 'Fight the Power'에 맞춰 뭔가에 화가 난 듯 격정적으로 춤을 춘다. 아침을 깨우는 지역 라디오 DJ(Sam Jackson)의 목소리로 영화의 이야기가 시작되는 '똑바로 살아라'는 샐의 피자 가게를 중심으로 뉴욕 브루클린 거리의 일상을 보여준다. 관객들은 거리의 모든 이웃들을 만나게 된다. 그리고 이웃들 사이에 내재되어 있는 인종 문제와, 인종 문제로 인한 갈등을 관찰하게 된다.

'똑바로 살아라'는 인종 문제라는 결코 유쾌하지 않은 주제를 다루고 있고, 또 특별한 이야기 없이 폭동이 일어나기 전의 거리의 일상을 보여주는 이야기 구조로 인해 따분해질 수도 있는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스파이크 리 감독은 화려하고 강렬한 색채의 화면, 클로즈업시킨 화면, 카메라를 약간 기울여 찍은 화면, 그리고 강렬한 랩 음악 등을 앞세운 흑인 문화 특유의 톡톡 튀는 스타일로 영화의 이야기를 이끌어 가고 있다. 특히 화면을 전체적으로 오렌지색으로 처리하여 무더운 여름날과, 인종 문제로 인한 이웃들 사이의 팽팽한 긴장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스파이크 리 감독이 흑인 영화감독인 만큼 '똑바로 살아라'는 인종 문제를 흑인들의 입장에서 다루고 있다. 그렇다고 스파이크 리 감독이 '똑바로 살아라'에서 흑인들을 두둔하지는 않는다. 경찰의 가혹 행위로 죽는 라디오 라힘은 결코 똑바로 사는 쳥년은 아니다. 라디오 라힘이 애지중지하며 항상 들고 다니는 라디오에서 나오는 소음에 가까운 음악은 샐뿐만 아니라 길모퉁이에 앉아 담소를 나누는 세 흑인 노인들까지 미치게 만든다. 라디오 라힘과 함께 샐의 피자 가게에서 싸움을 일으킨 버긴 아웃(Giancarlo Esposito)은 샐의 큰아들 피노(John Turturro)만큼이나 인종 차별주의자이다.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샐의 피자 가게에 이태리인의 사진들만 걸려 있고 흑인의 사진은 없다며 샐의 피자 가게를 보이콧하는데 흑인들의 동참을 유도하지만 어느 누구도 동참하지 않는다. 오히려 흑인들로부터 타박만 듣게 된다. 스파이크 리 감독은 흑인들이 샐의 피자 가게를 불태우고, 건너편에 있는 한국인 상점마저 불태우려는 장면을 통해 흑인들도 인종 문제에 있어 잘못이 없는 것은 아니다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샐의 피자 가게에서 배달부로 일하는 무키(Spike Lee)가 쓰레기통을 샐의 피자 가게에 던지면서 폭동이 시작된다. '똑바로 살아라'의 원제목을 정확하게 번역하면 "옳은 일을 해라"이다. 다 메이어(Ossie Davis)는 피자 배달을 가는 무키를 불러 세워 말한다. "항상 옳은 일을 해라."

쓰레기통을 샐의 피자 가게에 던진 무키의 행동이 과연 옳은 일이었는지, 즉 무키의 행동이 격분한 흑인들로부터 샐을 구하기 위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단지 친구인 라디오 라힘의 죽음에 대한 분노였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무키가 쓰레기통을 샐의 피자 가게에 던지는 장면을 자세히 보면, 이러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스파이크 리 감독의 의도된 연출이었는지조차도 애매모호하다. 하지만 무키의 행동이 샐을 구하기 위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라디오 라힘의 죽음에 대한 분노였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스파이크 리 감독의 의도된 연출이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이는 영화의 마지막에 자막으로 나오는 서로 상반된 주장의 두 개의 인용문, 즉 어떠한 폭력도 비실용적이며 비도덕적이라는 마틴 루터 킹의 말과, 자기 방어를 위한 폭력은 지력이라는 말콤 X의 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스파이크 리 감독은 무키의 행동을 통해 인종 문제에 맞서기 위한 폭력의 사용에 대해 관객들에게 묻고 있는 것이다.

'똑바로 살아라'에서는 인종 문제와 관련된 실제 사건들이 많이 언급되고 있다. 무키가 여동생 제이드(Joie Lee)에게 샐의 피자 가게에 오지 마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벽에 "Tawana told the truth!(타와나는 진실을 말했다!)"라는 낙서가 보이는데, 이는 1987년 15세의 흑인 소녀 Tawana Brawley가 자신을 강간했다고 6명의 백인들을 고소했으나, 배심원들은 모든 것이 Tawana Brawley의 자작극이라고 평결을 내린 사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라디오 라힘이 죽자 샐의 피자 가게에 모인 사람들이 경찰이 라디오 라힘을 죽였다며 Michael Stewart와 Eleanor Bumpurs를 언급하는데, 두 명 모두 경찰의 가혹 행위로 죽은 흑인들이다.

그리고 격분한 흑인들이 폭동을 진압하러 온 경찰을 향하여 "Howard Beach(하워드 해변)"라고 외쳐 대는데, 이는 1986년 3명의 흑인들이 뉴욕 퀸스의 하워드 해변에서 백인들에게 습격을 당한 사건을 말한다. 영화의 마지막에 6명의 이름과 함께 영화를 이들 가족들에게 바친다는 자막이 나오는데, 이들 중 Michael Griffith가 하워드 해변에서 백인들의 습격을 피해 달아나다 차에 치여 숨졌으며, 나머지 5명의 흑인들은 경찰의 가혹 행위로 죽었다.

'똑바로 살아라'는 스파이크 리 감독과, 샐 역의 대니 아이엘로가 각각 각본상과 남우조연상 후보에만 올랐을 뿐, 단 한 개의 아카데미상도 수상하지 못했지만, 미국 영화 연구소(American Film Institute, AFI)가 2007년에 선정한 "위대한 미국 영화 100 10주년 기념판 (AFI's 100 Years...100 Movies 10th Anniversary Edition)"에서 97위에 오른 영화이다.

Posted by unforgettable
,